목차
Table of Contents
본 문서는 Framer를 배우는 국내 사용자들이 한글 자료의 부족으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공식 블로그의 내용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실무에 유용한 정보를 추가했습니다. 프레이머를 사용하는 여러분께 작게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디자인 라이브러리 설정하기
처음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는 디자인 시스템을 미리 정리해두면 추후 확장성에 큰 도움이 됩니다.
텍스트 스타일: H1, H2, 본문, 캡션 등 텍스트 스타일을 정의해 두세요. 여기에 반응형 breakpoint를 추가하면 기기별로 자동으로 크기가 조정돼요.
컬러 스타일: 배경, 텍스트, 버튼 등 인터페이스 요소별로 색상을 통일하면 사이트 전체가 깔끔해집니다. 라이트·다크 모드에 대비해 각각의 대비값을 설정해두는 게 좋아요.
컴포넌트: 버튼, 네비게이션 메뉴, 카드 UI 같이 재사용이 되는 요소는 컴포넌트로 만들어 두세요. Variant와 Variable 기능을 활용하면 동일한 컴포넌트를 상황에 맞게 변형해 쓸 수 있습니다.

유연한 디자인 만들기
웹사이트는 한 번 만들고 끝나는 게 아니라 계속 수정되고 확장됩니다. 따라서 처음에 구조를 유연하게 잡아두면 이런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어요.
모듈형 레이아웃: 페이지를 히어로 배너 / 기능 소개 / 고객 후기 같은 섹션 단위로 나누어 설계하면, 나중에 순서를 바꾸거나 새로운 블록을 추가할 때 수월합니다.
스택(Stack) 활용: 콘텐츠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때 자동으로 정렬을 맞춰주는 스택 기능을 사용해보세요. 일일이 픽셀을 수정할 필요가 없어 편리합니다.
기본 브레이크포인트 우선시: 가장 중요한 해상도(예: 데스크톱)를 기준으로 디자인한 뒤, 작은 화면에 맞춰 세부 섹션을 추가하는 방식이 효율적입니다.
Note
: 이미 Figma에서 작업한 디자인이나 HTML 파일이 있다면, Figma to Framer 또는 HTML to Framer 플러그인을 활용하면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습니다.
CMS로 콘텐츠 관리하기
사이트가 커질수록 블로그 글, 제품 정보, 뉴스 같은 정기 업데이트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하는데요. 이럴 때 CMS가 꼭 필요합니다.
콘텐츠 컬렉션: 블로그 게시물, 제품 리스트, FAQ, 뉴스 기사 등 정기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콘텐츠를 각각의 CMS 컬렉션으로 만들어두면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컴포넌트와 레이아웃: CMS 컬렉션을 단순 텍스트 나열이 아니라, 원하는 디자인 요소와 결합하여 유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 및 성능 우선 순위 지정하기
완성된 디자인을 곧바로 배포하기보다는, 먼저 안전하게 테스트하는 단계를 거치는 것이 좋은데요. 최적화에 대한 더 많은 팁은 사이트 최적화 가이드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스테이징 환경 테스트: 실제 사이트에 올리기 전에 스테이징 환경에서 테스트하고 승인 과정을 거치면 문제가 생길 확률이 줄어듭니다.
최적화 팁: 불필요한 애니메이션을 최소화 하고, 직접 동영상 파일을 올리기보다는
YouTube
나Vimeo
를 임베드하는 것이 로딩 속도에 유리합니다. 또한Custom Code
에 불필요한 스크립트를 넣는 건 추천하지 않습니다.
본 글은 Framer 공식 블로그의 ‘Setting up your Framer site for scale’를 번역·각색한 콘텐츠입니다.